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백준 21606번
- 동적 프로그래밍(Dynamic Programming)
- 백준 2812번
- 스택(Stack)
- 백준 18352번
- 백준 2493번
- 백준 1948번
- 백준 1707번
- DFS & BFS
- 알고리즘 개념
- 위상 정렬(Topological Sort)
- 백준 17608번
- 백준 9012번
- 다익스트라 알고리즘(Dijkstra Algorithm)
- 트리(Tree)
- 이분 탐색(Binary Search)
- 이분 그래프(Bipartite Graph)
- DFS(Depth First Search)
- 위상 정렬(Topology Sort)
- 분할 정복(Divide and Conquer)
- 큐(Queue)
- 백준 10000번
- BFS
- DFS
- 백준 2504번
-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(Floyd-Warshall Algorithm)
- BFS(Breadth First Search)
- 백준 2261번
- 그래프(Graph)
- 그리디 알고리즘(Greedy Algorithm)
Archives
- Today
- Total
Always Be Wise
OSI 7 계층 참조 모델 본문
728x90
OSI 7 계층 참조 모델이란?
OSI 7 계층 참조 모델(Open System Interconnect 7 Layer Referecne Model)은 서로 다른 기기들이
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규칙의 표준을 의미합니다.
- 계층 설명
- 7계층 중 최하위 계층.
- 주로 전기적, 기계적,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.
- 데이터는 0과 1의 비트열, 즉 On, Off의 전기적 신호 상태로 이루어져 해당 계층은 단지 데이터를 전달.
- 단지 데이터 전달의 역할을 할 뿐이라 알고리즘, 오류제어 기능이 없음
- 장비로는 케이블, 리피터, 허브가 있음
- 물리적인 연결을 통하여 인접한 두 장치 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담당(Point-To-Point 전송)
- 안전한 정보의 전달이라는 것은 오류나 재전송하는 기능이 존재
- MAC 주소를 통해서 통신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(Frame)
- 장비로는 브리지, 스위치가 있음
- 중계 노드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 어떻게 중계할 것인가를 규정
- 라우팅 기능을 맡고 있는 계층으로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(최적의 경로를 설정가능)
- 컴퓨터에게 데이터를 전송할지 주소를 갖고 있어서 통신가능(=우리가 자주 듣는 IP 주소가 바로 네트워크 계층 헤더에 속함)
- 네트워크 계층에서 데이터 단위는 패킷(Packet)
- 장비로는 라우터, L3 스위치가 있음
- 종단 간 신뢰성 있고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담당
-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신뢰성있고 효율적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오류검출 및 복구, 흐름제어와 중복검사 등을 수행
-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Port 번호를 사용함.(대표적인 프로토콜로 TCP와 UDP가 있음)
- 전송 계층에서 데이터 단위는 세그먼트(Segment)
- 통신 장치 간 상호작용 및 동기화를 제공
- 연결 세션에서 데이터 교환과 에러 발생 시의 복구를 관리
- 데이터를 어떻게 표현할지 정하는 역할을 하는 계층
- 표현 계층은 세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.
- 송신자에서 온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응용계층 데이터 부호화, 변화
- 수신자에서 데이터의 압축을 풀수 있는 방식으로 된 데이터 압축
- 데이터의 암호화와 복호화(MIME 인코딩이나 암호화 등의 동작이 표현계층에서 이루어짐. EBCDIC로 인코딩된 파일을 ASCII 로 인코딩된 파일로 바꿔주는 것이 한가지 예임)
-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으로 인터페이스 역할
-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 교환을 담당
- ex) 전자메일, 인터넷, 동영상 플레이어 등
- 물리계층(Physical Layer)
TCP / IP 4 계층이란?
TCP / IP 4 계층은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사용하는 통신규약(프로토콜)을 기준으로
구분한 계층으로, OSI 7 계층을 상업적이고 실무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- 계층 설명
- **제 1계층]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(Network Interface Layer)**OSI 7 계층에서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한다. 각종 하드웨어적인 요소와 관련되는 것을 지원하며, 노드와 노드간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. 주요 프로토콜로는 Ethernet, Token Ring 등이 있다.
- **[제 2계층] 인터넷 계층(Internet Layer)**OSI 7 계층의 인터넷 계층에 해당한다. 주요 프로토콜로는 IP가 있다.
- **[제 3계층]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**OSI 7 계층의 전송 계층에 해당한다. 주요 프로토콜로는 TCP, UDP 등이 있다.
- **[제 4계층] 응용 계층(Transport Layer)**OSI 7 계층의 세션 계층, 표현 계층, 응용 계층에 해당한다. 주요 프로토콜로는 HTTP, FTP, DNS 등이 있다.
'기술 관련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2.0의 특성은? (0) | 2022.03.29 |
---|---|
HTTP 1.0 vs HTTP 1.1 (0) | 2022.03.29 |
데드락(Deadlock)이란? (0) | 2022.03.29 |
스택(Stack)과 힙(Heap) (0) | 2022.03.29 |
프로세스(Process)란? (0) | 2022.03.29 |
Comments